자산 계정과목 설명
- 정보/세무,회계,인사,노무
- 2018. 7. 5. 20:19
자산 계정과목 설명
이번에는 자산의 계정과목과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리해두려고 합니다. 들어는 봤지만 잘 쓰지 않았던 내용들도 이번에 정리하면서 좀 익혀둬야겠습니다. 자산, 부채, 자본의 계정과목을 차례대로 정리한 다음, 수익과 비용의 계정과목도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. 저는 구매한 책을 참고했습니다. 그냥두면 잘 안읽는데 이렇게 정리하면서 보면 더 잘 들어오는거 같아요.
자산계정과목
구 분 |
계정과목 |
내 용 |
|
유 동 자 산 |
당 좌 자 산 |
현금 및 현금성 자산 |
-현금 : 통화, 통화대용증권 -현금성자산 : 3개월내 현금화 가능 -통화 및 타인발행수표, 보통예금, 당좌예금, 우편환증서, 기일도래공사채 이자표, 배당금지급통지표, 지점전도금, 가계수표, 송금환, 자기앞수표, 타인이 발행한 당좌수표 |
단기 금융상품 |
-1년 이내 도래하는 금융상품 -정기예금, 정기적금, 양도성 예금증서(CD), 예금관리계좌(CMA), 기업어음(CP), 환매체(RP),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예금을 말한다. |
||
단기 매매증권 |
-단기 보유목적의 시장성 있는 주식·채권 -주식, 국·공채, 수익증권, MMF 등 |
||
매출채권 |
-일반적 상거래에서 발생한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 -일반적 상거래에서 발생하지 않은 미수채권은미수금 |
||
단기 대여금 |
상대방에게 차용증이나 어음을 받고 돈을 빌려준 경우로서 그 회수가 1년 이내에 가능한 경우 |
||
미수금 |
-기업의 고유한 사업 이외의 사업에서 발생되는 미수채권 -근로소득세(환급받을 갑근세·연말정산 환급액 등), 건강보험료환급액, 건물의 처분 후 대금 미수취액, 계약파기 후 반환받지 못한 계약금, 부가가치세환급액, 공사대금 미수액(공사미수금) |
||
미수수익 |
-기업이 외부에 용역을 제공하고 그 대가를 당기에 받아야 하는데 아직 받지 못한 대가 -국·공채이자 미수, 국·공채의 보유로 인한 기간경과 이자, 사채이자미수금, 예금·적금 미수이자, 임대료 미수금, 정기예금 기간경과로 발생한 이자, 정기적금 기간이자로 발생한 이자 |
||
선급금 |
상품이나 제품 등의 재고자산 구입 시 납품에 앞서 미리 지급한 금액 |
||
선급비용 |
-아직 제공되지 않은 용역에 대해서 지급된 대가로서 일정 기간 동안 특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또는 청구권 -고용보험료·광고료·보증보험료·산재보험료·임차료·지급이자 기간미경과분 -임차자산 도시가스설치비용과 인테리어(임차인이 부담 시) 비용은 장기섭급비용으로 처리 후 임차기간동안 나누어서 임차료로 대체처리 |
||
선납세금 | -세금이 확정되기 전에 미리 낸 세금 | ||
부가가치세대급금 | 물건이나 용역을 구입할 때 상대방에게 지불하는 부가가치세 부담 분 | ||
가지급금 | 임직원의 가불이나 출장비 미정산 등 지출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금액 | ||
전도금 | 사업장이 다수인 경우 본사가 사업장의 운영과 관련해서 지급하는 일정금액 | ||
이연법인세자산 | 차감할 일시적 차이, 이월공제가능 한 세무상 결손금이나 이월공제가능 한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등으로 인해서 미래의 실제 납부 시점에 경감될 법인세 부담액 | ||
재
| 상품 | 도·소매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판매를 목적으로 외부로부터 매입한 모든 물품 | |
제품 | 제조기업이 판매할 목적으로 제조해서 보유하고 있는 최종 생산품이나 부산물 | ||
재공품 | 제조공정의 도중에 있는 미완성의 생산물 | ||
원재료 |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소비되는 물품 | ||
저장품 | 생산과정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소모품, 소모공구기구, 비품 및 수선용 부품으로 미사용 재화 | ||
비 유 동 자 산 | 투
| 장기 금융상품 | 장기적 자금운용 목적이거나, 보고기간종료일(일반적으로 12월 31일)로부터 1년 이후에 만기가 도래하는 금융상품 |
매도가능 금융자산 | 유가증권 중 단기매매금융자산이나 만기보유금융자산 및 지분법적용투자주식으로 분류되지 않은 것 | ||
만기보유 금융자산 | 만기가 확정된 채무증권으로서 상환금액이 확정되었거나 확정이 가능한 채무증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적극적인 의도와 능력이 있는 것 | ||
투자 부통산 | 투자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영업활동에 사용하지 않는 토지와 설비자산 | ||
보증금 | 전세권, 전신전화가입권, 임차보증금, 영업보증금 등 | ||
유 형 자 산 | 건물 | -영업(생산)활동에 사용하는 건축물 | |
기계장치 | -영업(생산)활동에 사용하는 기계와 부속설비 -가반식 컨베어, 공작기기, 기중기, 디젤파일 햄머, 배사관, 베처플랜트, 아스팔트플랜트, 측량용 카메라, 콘베어(컨베이어) | ||
차량운반구 | -영업(생산)활동에 사용하는 차량과 운반구 -철도차량, 자동차 및 기타의 육상운반구 | ||
토지 | -영업(생산)활동에 사용하는 토지 | ||
구축물 | 토지 위에 정착된 건물 이외에 화단, 가로등, 다리, 정원, 철탑, 포장도로, 가스저장소, 갱도, 건물 취득 시 내부인테리어 비용(임차인), 교량, 굴뚝, 궤도, 정원설비 및 기타의 토목설비 또는 공작물 | ||
건설중인 자산 | 유형자산의 건설을 위한 재료비, 노무비 및 경비로 하되, 건설을 위해서 지출한 도급금액을 포함한다. 또한 유형자산을 취득하기 위해서 지출한 계약금 및 중도금도 유동자산 중 당좌자산의 '선급금'이 아닌 비유동자산 중 유형자산의 "건설중인자산"으로 처리해야 함에 유의 | ||
비품 | 내용연수가 1년 이상이고 일정금액 이상의 사무용 비품을 처리하는 계정을 말한다. 그러나 그 금액이 소액인 경우에는 이를 소모품비로 처리한 후 기말에 남은 것에 대해서는 저장품 계정으로 대체 | ||
무 형
| 공기구 | 기업이 소유하고 있으면서 자기의 경영목적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내용연수 1년 이상인 제조용 제 공구와 제 기구 | |
영업권 | 합병·영업양수 및 전세권 취득 시 대가를 지급하고 취득한 권리 | ||
산업재산권 | 특허권·실용신안권·의장권·상표권 등의 무형의 권리 | ||
개발비 | 특정의 신제품 또는 신기술 개발을 위한 비용 |